원글 : http://www.hodoogwaja.com/한글-웹폰트-모음-나눔-제주-한나-kopub바탕-noto-sans/
다음코드를 폰트들에 맞게 각각 스타일시트(CSS파일) 상단에 입력한다.
1 |
@import url(http://fonts.googleapis.com/earlyaccess/폰트파일이름.css); |
그후 css에서 각각에 맞는 font-family 를 아래와 같이 적용면서 사용하면 된다.
1 2 3 4 |
// 예로 h2 폰트를 바꾼다 치면 h2{ font-family: '폰트이름'; } |
Noto Sans KR – 본고딕 (노토산스)
1 |
@import url(http://fonts.googleapis.com/earlyaccess/notosanskr.css); |
font-family: ‘Noto Sans KR’ ;
가능 굵기 : 100,300,400,500,700,900
소개 : 갓 구글&어도비.
구글과 어도비가 합작해서 만들어주신 아름다운 서체다. 산돌에서 작업했다고 들었는데.. 그래서 애플 산돌 고딕과 좀 비슷하다. 좀더 딱딱한거 같긴 하지만..
우짜든 굵기도 100에서 900까지 다양하게 지원하고 이쁘다.
미리보기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눔고딕
1 |
@import url(http://fonts.googleapis.com/earlyaccess/nanumgothic.css); |
font–family: ‘Nanum Gothic’ ;
가능 굵기 (font-weight) : 400, 700,800
소개: 가장 만만하고 깔끔한 서체다. 큰 글씨로 볼때는 좀 안이쁘다.
미리보기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눔명조
1 |
@import url(http://fonts.googleapis.com/earlyaccess/nanummyeongjo.css); |
font-family: ‘Nanum Myeongjo’ ;
가는 굵기 : 400,600,700
소개 : 궁서체로 각잡고 얘기하는 내용에 쓰면 좋다.
미리보기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눔고딕 코딩
1 |
@import url(http://fonts.googleapis.com/earlyaccess/nanumgothiccoding.css); |
font-family: ‘Nanum Gothic Coding’ ;
가능 굵기 (font-weight) : 400,700
소개: 쉼표가 잘보인다.
미리보기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눔손글씨 붓
1 |
@import url(http://fonts.googleapis.com/earlyaccess/nanumbrushscript.css); |
font-family: ‘Nanum Brush Script’ ;
가능 굵기(font-weight): 400
소개: 이쁘고 매우 짜증나는 서체다. 다른 서체들에 비해 글씨크기가 워낙 작아, 이 폰트를 쓸때는 클래스 새로 잡아 크기를 잡아줘야 된다. 근데 이뻐.
미리보기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눔손글씨 펜
1 |
@import url(http://fonts.googleapis.com/earlyaccess/nanumpenscript.css); |
font-family: ‘Nanum Pen Script’ ;
가능굵기(font-weight): 400
소개: 나눔손글씨 붓과 마찬가지 이유로 귀찮다. 근데 이쁨.. 랜딩페이지나 큰 사진 백그라운드가 들어가는 화면에 잘어울린다.
미리보기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제주고딕
1 |
@import url(http://fonts.googleapis.com/earlyaccess/jejugothic.css); |
font–family: ‘Jeju Gothic’ ;
가능굵기: 400
소개: 이걸 쓸일이 있을런지 모르겠네. 나눔고딕 노토산스가 있는데..;
미리보기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제주한라산
1 |
@import url(http://fonts.googleapis.com/earlyaccess/jejuhallasan.css); |
font-family: ‘Jeju Hallasan’ ;
가능 굵기: 400
미리보기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제주명조
1 |
@import url(http://fonts.googleapis.com/earlyaccess/jejumyeongjo.css); |
font–family: ‘Jeju Myeongjo’ ;
가능 굵기: 400
미리보기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한나체
1 |
@import url(http://fonts.googleapis.com/earlyaccess/hanna.css); |
font-family: ‘Hanna’ ;
가능 굵기: 400
미리보기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KoPub 바탕
1 |
@import url(http://fonts.googleapis.com/earlyaccess/kopubbatang.css); |
font-family: ‘KoPub Batang’ ;
가능 굵기 : 300, 400, 700
미리보기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나는 치맥을 하고 싶다. 피맥도 하고 싶다. 족맥도 하고 싶다.
결론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